www.acmicpc.net/problem/2504

 

2504번: 괄호의 값
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  만일

www.acmicpc.net

문제
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
  1.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 
  2. 만일 X가 올바른 괄호열이면 ‘(X)’이나 ‘[X]’도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 
  3. X와 Y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라면 이들을 결합한 XY도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
예를 들어 ‘(()[[]])’나 ‘(())[][]’ 는 올바른 괄호열이지만 ‘([)]’ 나 ‘(()()[]’ 은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아니다. 우리는 어떤 올바른 괄호열 X에 대하여 그 괄호열의 값(괄호값)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값(X)로 표시한다. 

  1. ‘()’ 인 괄호열의 값은 2이다.
  2. ‘[]’ 인 괄호열의 값은 3이다.
  3. ‘(X)’ 의 괄호값은 2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  4. ‘[X]’ 의 괄호값은 3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  5. 올바른 괄호열 X와 Y가 결합된 XY의 괄호값은 값(XY)= 값(X)+값(Y) 로 계산된다.

예를 들어 ‘(()[[]])([])’ 의 괄호값을 구해보자.  ‘()[[]]’ 의 괄호값이 2 + 3×3=11 이므로  ‘(()[[ ]])’의 괄호값은 2×11=22 이다. 그리고  ‘([])’의 값은 2×3=6 이므로 전체 괄호열의 값은 22 + 6 = 28 이다.

여러분이 풀어야 할 문제는 주어진 괄호열을 읽고 그 괄호값을 앞에서 정의한대로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.

입력

첫째 줄에 괄호열을 나타내는 문자열(스트링)이 주어진다. 단 그 길이는 1 이상, 30 이하이다.

출력

첫째 줄에 그 괄호열의 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일 입력이 올바르지 못한 괄호열이면 반드시 0을 출력해야 한다. 

예제 입력 1

(()[[]])([])

예제 출력 1

28

 

 

 

 

 

 

풀이 .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ack;
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String[] arr = br.readLine().split("");

        int len = arr.length;
        int SL = 0, LL  = 0;  // small left, large left

        Stack<String> stk = new Stack<>();
        for(int i = 0; i < len; i++) {  // () []를 숫자로 먼저 치환
            String str = arr[i];

            if(str.equals("(")) {
                SL += 1;
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[")) {
                LL += 1;
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)")) {
                if(SL == 0 || stk.peek().equals("[")) {
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0);
                    return;
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if(stk.peek().equals("(")) {
                    SL -= 1;
                    stk.pop();
                    stk.push("2");
                }else {
                    SL -= 1;
    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]")) {
                if(LL == 0 || stk.peek().equals("(")) {
        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0);
                    return;
                }

                if(stk.peek().equals("[")) {
                    LL -= 1;
                    stk.pop();
                    stk.push("3");
                }else {
                    LL -= 1;
    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if(SL != 0 || LL != 0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0);
            return;
        }

        Stack<String> temp = new Stack<>();
        while(!stk.isEmpty()) {  // 맨 밑부터 순서대로 보기 위해 잠시 다른 스택으로 옮김
            temp.push(stk.pop());
        }

        while(!temp.isEmpty()) {  // 올바르지 않은 괄호에 대해서는 이미 모두 처리했으므로 더 이상 볼 필요 없음
            String str = temp.pop();

            if(str.equals("(")) {
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[")) {
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)")) {
                int sum = 0;
                while(!stk.peek().equals("(")) {
                    int num = Integer.parseInt(stk.pop());
                    sum += num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stk.pop();  // "(" 제거
                stk.push(String.valueOf(sum * 2));
            }else if(str.equals("]")) {
                int sum = 0;
                while(!stk.peek().equals("[")) {
                    int num = Integer.parseInt(stk.pop());
                    sum += num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stk.pop();  // "[" 제거
                stk.push(String.valueOf(sum * 3));
            }else {  // 숫자는 그냥 넣는다
                stk.push(str);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int ans = 0;
        while(!stk.isEmpty()) {  // 모든 괄호 처리 후 남은 숫자들 더함
            ans += Integer.parseInt(stk.pop());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ans);
    }
}

 

스택을 이용한 구현 문제.

 

방법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구현 멍청이인 나에게는 힘겨웠던 문제.

 

내 승모근을 잔뜩 경직시키고 뒤통수를 예열시킨 문제.

 

 

 

 

'알고리즘 문제 > 백준 온라인 저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BOJ] 2493 - 탑 JAVA  (0) 2021.03.08
[BOJ] 2800 - 괄호 제거 JAVA  (0) 2021.03.08
[BOJ] 1935 - 후위 표기식2 JAVA  (0) 2021.03.07
[BOJ] 1920 - 수 찾기 JAVA  (0) 2021.03.07
[BOJ] 1874 - 스택 수열 JAVA  (0) 2021.03.07

+ Recent posts